당신이 몰랐던 매크로의 숨겨진 기능: 이 방법으로 Ctrl+V를 사용하세요!

SimpleHotkey_Script|2025. 9. 1. 09:10

 

 

심플핫키 매크로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조합키(Combination Key) 사용 방법에 대해 아주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Ctrl, Alt, Shift와 같은 특수키를 다른 키와 함께 누르는 방법을 배우면 매크로의 활용도가 한층 더 높아집니다!

 

Down과 Up 명령어의 비밀

일반적인 키 입력은 키보드를 한 번 누르고 바로 떼는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Ctrl+V와 같은 조합키는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V 키를 누르고, 마지막으로 두 키에서 모두 손을 떼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바로 이 과정을 구현하기 위해 **Down**과 Up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 <Down,키>: 해당 키를 누르는 동작을 의미합니다. 손가락으로 키를 누른 상태를 유지하는 것과 같아요.
  • <Up,키>: 해당 키에서 손을 떼는 동작을 의미합니다.

이 두 명령어를 조합하면 원하는 모든 조합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제 사용법

Ctrl+A(전체 선택)를 예로 들어볼게요. 이 동작을 매크로로 만들려면 다음과 같은 순서가 필요합니다.

스크립트 예제
<down,ⓒ>
<down,a>
<up,a>
<up,ⓒ>

 

 

스크립트 설명

  1. <down,ⓒ>: Ctrl 키를 누르는 명령입니다. (참고: Ctrl 키의 특수 기호는 'ⓒ' 입니다.)
  2. <down,a>: a 키를 누르는 명령입니다. 이제 Ctrl과 a 키가 동시에 눌린 상태가 됩니다.
  3. <up,a>: a 키에서 손을 뗍니다.
  4. <up,ⓒ>: 마지막으로 Ctrl 키에서 손을 뗍니다.

이렇게 <down>과 <up> 명령어를 적절히 조합하면, 원하는 대로 키를 누르고 떼는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특수 키 기호는 어디서 찾을 수 있나요?

Ctrl, Alt, Shift와 같은 특수 키의 정확한 기호는 심플핫키 매크로 프로그램의 '도움말 -> 키 입력'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를 만들기 전에 이 메뉴를 꼭 확인해 보세요!

 

예제 활용 방법

이 예제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활용하면 좋아요:

 

  • 웹사이트 로그인 정보 저장: 자주 방문하는 웹사이트의 ID와 비밀번호를 파일에 저장해두고, 매크로가 로그인 창에서 자동으로 불러와 입력하게 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에 직접 정보를 저장하는 것보다 보안에 더 유리하며, 정보를 쉽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연동 전 임시 저장: 매크로가 웹에서 수집한 여러 데이터를 파일에 임시로 저장해두고, 특정 시점에 모아 한 번에 데이터베이스나 스프레드시트로 옮길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네트워크 오류 등으로 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다중 매크로 간 상태 공유: 여러 개의 매크로 스크립트를 순차적으로 실행할 때, 이전 매크로의 실행 결과를 파일에 저장하고 다음 매크로가 그 파일을 읽어와 작업을 이어가게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크로 A가 수집한 URL 목록을 파일에 저장하면, 매크로 B가 그 목록을 읽어와 순서대로 웹페이지를 방문하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매크로 실행 횟수 기록: 특정 매크로가 하루에 몇 번 실행되었는지 기록하고 싶을 때, 매크로가 실행될 때마다 파일에 기록된 숫자를 읽어와 1을 더한 후 다시 파일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실행 횟수를 누적할 수 있습니다.

 

쉽고 간단하지만 매우 강력한 사용법이에요! 다양한 자동화 작업에서 조합키 사용은 필수적이니, 꼭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댓글()

"이거 불법 아님?" 일반인도 쉽게 만드는 초간단 매크로

SimpleHotkey_Script|2025. 8. 25. 14:15

 

 

심플핫키 매크로 프로그램을 사용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파일 읽고 쓰기" 방법에 대해 아주 쉽게 설명드릴게요!

 

예제 사용법

파일 읽고 쓰기 기능은 텍스트 내용을 파일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 다시 불러오는 아주 유용한 기능이에요. 이 예제를 통해 파일에 텍스트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기본적인 개념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예제
<String,a=테스트 파일입니다>
<FileWrite,test.txt,a>
<Msg_Box,test.txt 파일 생성됨>

<FileRead,test.txt,b>
<Msg_Box,b>

 

 

스크립트 설명

  • <String,a=테스트 파일입니다> 명령어는 테스트 파일입니다라는 텍스트를 변수 a에 저장합니다.
  • <FileWrite,test.txt,a> 명령어는 변수 a에 저장된 내용을 test.txt라는 파일에 기록합니다.
  • <Msg_Box,test.txt 파일 생성됨>은 test.txt 파일이 성공적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팝업입니다.
  • 그 다음 <FileRead,test.txt,b> 명령어를 사용해 test.txt 파일의 내용을 읽어오고, 이 내용을 변수 b에 저장합니다.
  • <Msg_Box,b>를 통해 변수 b에 저장된 파일 내용을 사용자에게 다시 보여주는 흐름입니다.

참고로 파일로 기록되거나 파일에서 읽어온 변수값은 전역변수로 사용할 수 있어서 다른 매크로에서도 그대로 불러 쓸 수 있어요!


예제 활용 방법

이 예제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활용하면 좋아요:

  • 로그 기록: 자동화 작업 중 발생하는 특정 이벤트를 텍스트 파일에 기록하여 추후에 확인할 때.
  • 데이터 백업: 매크로 실행 과정에서 중요한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해두고 싶을 때.
  • 데이터 공유: 여러 매크로 스크립트 간에 텍스트나 설정 값을 공유할 때.
  • 설정 저장: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나 선택한 옵션을 파일로 저장하여 다음에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자동으로 불러오고 싶을 때.

쉽고 간단하지만 매우 강력한 사용법이에요! 다양한 자동화 작업에서 핵심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데 꼭 필요한 기능이랍니다.

댓글()

심플핫키 INI 읽기/쓰기, 자동화 업무 활용 예제

SimpleHotkey_Script|2025. 7. 16. 10:41

 

 

안녕하세요 😊
심플핫키 매크로 프로그램을 사용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INI 파일 읽고 쓰기" 방법에 대해 아주 쉽게 설명드릴게요!

 

 

예제 사용법

INI 파일은 간단한 텍스트 형식의 설정파일인데요, 값들을 저장해두고
필요할 때 불러와 사용하는 아주 유용한 기능이에요.
이 예제를 통해 기본적인 저장/불러오기 개념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예제
<IniWrite,test.ini,main,step1,1>
<IniWrite,test.ini,main,step2,2>
<IniWrite,test.ini,main,step3,3>
<IniWrite,test.ini,main,step4,4>

 

 

스크립트 설명

  1. <IniWrite> 명령어는 데이터를 INI 파일에 저장하는 역할을 해요.
    위 스크립트에서는 test.ini 파일의 main이라는 섹션에
    step1부터 step4까지 숫자 값을 각각 저장하고 있어요.
  2. <Msg_Box,test.ini 파일 생성됨>은 파일이 잘 만들어졌다는 걸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팝업입니다.
  3. 그다음 <IniRead> 명령어를 사용해 step2 값을 읽어오고,
    이 값을 변수 a에 저장한 뒤, <Msg_Box,a>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시 보여주는 흐름입니다.
  4. 참고로 이렇게 저장한 INI 파일 값은 전역변수로 사용할 수 있어서
    다른 매크로에서도 그대로 불러 쓸 수 있어요!

 

 

예제 사용법

이 예제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활용하면 좋아요:

  • 자동화 도중에 중요한 값 또는 설정을 저장해두고 싶을 때
    (예: 선택한 옵션 기억하기, 이전 작업 단계 추적)
  • 여러 번 실행되는 매크로에서 데이터를 공유할 때
    (다른 스크립트와 정보 교환 또는 연계 작업에 유용)
  • 사용자 맞춤 설정을 저장해 다시 불러올 때
    (모드, ON/OFF 설정, 사용자 이름 등 유지)
  • 단계별 실행 상태를 계속 저장하며 자동화 진행을 추적할 때

쉽고 간단하지만 매우 강력한 사용법이에요!
다양한 자동화 작업에서 핵심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데 꼭 필요한 기능이랍니다 👍

댓글()